청년마을 모집은 청년들이 지역 사회에서 새로운 삶을 도전하고,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사업입니다. 이 사업은 청년들이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, 지역 공동체와의 상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1. 청년마을 사업 목적
지역 청년의 유출을 방지하고, 도시 청년의 지역 탐색을 통한 새로운 삶의 기회를 제공합니다. 청년들이 지역에 머물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여 지역 사회의 활력을 높이는 것이 목적입니다. 특히, 도시에서 온 청년들이 지역을 탐색하고 새로운 삶의 기회를 통해 자신들의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도전을 위해 마련되었습니다. 청년마을 사업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청년 지원을 동시에 이루는 중요한 프로젝트로 기대됩니다.
2. 사업 규모
2018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2024년까지 총 39개의 지역에 청년마을을 조성하였습니다.
2025년에는 12개의 신규 청년마을이 창출될 예정입니다.
2025년에는 청년마을 조성 사업에 1조 4,300억 원이 편성되어 있습니다.
세종시 (연서면) 농땡이 월드 |
강원도 (홍천군) 와썹타운 |
충청북도 (보은군, 진천군) 뤁빌리지 진천 라이더타운회인ㅎㅇ |
충청남도 (홍성군, 예산군) 집단지성 내:일 |
전라북도 (익산시) 지구장이 마을 지구장이 마을 |
전라남도 (고흥군, 영암군) / 신촌꿈이룸 마을 달빛포레스토 |
경상북도 (영천시, 고령군) 취하리/뮤즈타운 취하리 뮤즈타운 |
경상남도 (하동군, 남해군) 오히려하동 |
3. 모집 일정 및 방법
- 공고 기간: 2024년 12월 26일부터 2025년 1월 10일까지
- 접수 기간: 2025년 1월 9일부터 1월 10일까지
- 접수 방법:지방보조금관리시스템(보탬 e)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<지방보조금관리시스템 바로가기>
4. 지원 내용
입소 지원: 청년마을에 입소하는 청년들에게는 주거 공간과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됩니다. 그러나 전액 지원 여부는 각 지역의 청년마을 운영 방침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♠♣ 지원 방식
청년마을은 주거비, 생활비, 프로그램 참여비 등을 지원할 수 있으며, 일부 지역에서는 전액 지원이 가능할수있습니다. 하지만 이는 각 청년마을의 운영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♠♣ 신청 방법 및 조건
- 신청 방법: 청년마을에 입소하고자 하는 청년들은 해당 지역의 청년마을 운영 기관에 문의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조건: 입소 조건은 지역마다 다를 수 있으며, 청년의 연령, 거주지, 소득 수준 등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.
결론적으로, 청년마을 입소 시 전액 지원이 가능할 수 있지만, 이는 각 지역의 정책에 따라 다르므로 구체적인 사항은 해당 청년마을의 운영 기관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
5. 청년마을 주요 활동과 프로그램
청년마을 활동 계획 지역 살아보기: 지역 주민들과 함께 생활하며 지역의 문화와 환경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입니다. 지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, 지역 사회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.
일거리 실험: 청년들이 지역 내에서 다양한 일거리를 창출하고 실험하는 활동입니다. 이를 통해 청년들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.
유휴공간 활용: 지역 내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고, 다양한 활동을 진행합니다. 예를 들어, 카페, 작업실, 전시 공간 등을 만들어 지역 주민과 청년들이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합니다.
주거 및 커뮤니티 조성: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주거 공간을 마련합니다. 지역 주민들과의 교류를 촉진하는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지역 사회의 유대감을 강화.
교류 및 소통 행사: 청년들과 지역 주민들이 서로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을 개최합니다. 예를 들어, 문화 행사, 워크숍, 세미나 등을 통해 서로의 경험과 지식을 나누는 기회를 제공합니다.
< 청년마을 > 바로가기
◈ 청년마을의 취지는 청년들이 지역에서 활동함으로써 지역 경제와 공동체가 활성화되며, 청년들에게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여 지역에서의 삶을 도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. 이러한 청년마을 프로젝트를 통해 선정된 마을은 청년들이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, 동시에 자신들의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입니다.
1월 10일까지 접수마감입니다. 늦기 전에 서두르세요.!!
'유익한 정책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업자, 프리랜서, 시간제, 일용직 : 과다 납부한 세금 돌려받는 '경정청구' (0) | 2025.01.08 |
---|---|
[2025] 디딤돌씨앗통장 대상,신청방법, 잔액조회 및 후원 해지방법 (1) | 2025.01.07 |
묻고 확인하는 '복지지원' 어플리케이션 3가지 (0) | 2025.01.06 |
위기의 소상공인 최대 5천만원, 2025년 '비상경제 회복자금' 총 정리 !! (3) | 2025.01.04 |
2025년 민생회복 지원금 종류, 신청자격, 방법 (5) | 2025.01.03 |